Support Business
「농촌현장포럼」은 주민이 주도하고, 현장활동가 및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마을의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과 역량을 분석·진단하고, 마을 발전과제를 발굴하여 계획화를 지원하는 공동체 중심의 협의 프로그램
「희망마을 선행사업」은 농촌현장포럼 등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면서 발굴된 아이디어를 직접 실행함으로서 ‘마을 주민 간’ 협동의지를 높이고 마을가꾸기의 동기 제고
「충남형 마을만들기(자율개발)」은 한 개의 행정리 단위로 실시하는 소규모 개발사업으로 마을의 문화·복지·경제·환경 등 분야에 제한 없이 자율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농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충남형 마을만들기(종합개발)」은 사업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소규모 하드웨어 사업을 완료하고 상향식 마을만들기 사업 경험을 충분히 축척하여야 합니다. 한 개의 행정리 단위로 충분히 역량을 갖춘 마을을 대상으로 기초생활기반확충과 소득증대, 경관개선, 역량강화 사업 등을 종합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기초생활거점육성사업」은 읍면소재지 등 배후마을에 대한 일상적 서비스 공급 거점 기능을 기초생활거점으로 육성하여 상위 서비스 거점인 중심지의 기능을 보완하면서, 중심지 접근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배후마을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
※지역소득증대사업(소득기반·체험관광 등) 신청 불가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은 읍면소재지의 잠재력과 특색있는 테마를 살려 경쟁력을 확보하고 농촌중심지 기능 확충과 함께 배후마을로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확대하여 중심성이 높은 읍면소재지와 배후마을을 통합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은 지역개발사업 등을 통해 그동안 구축된 지역자산과 다양한 민간조직을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람과 조직을 만듦으로서 농촌의 자립적 성장기반을 구축하고 사회적일자리 창출로 선순환 경제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
「권역단위 마을종합개발사업」은 생활권(마을간 역사·문화적 배경이 동일하고 인근 주민 간 유대감이 강해 공동체 활동이 가능한 지역)이 같은 여러 마을을 권역 단위로 묶어 생활환경정비, 경관개선, 주민공동소득기반확충, 지역역량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주민참여형 상향식 사업(일몰사업, 2014~17)
「새뜰마을사업」은 균형발전위원회 사업으로 위험잠재지역, 생활환경이 비위생적인 지역, 생활 인프라가 미흡한 지역 등 생활여건 및 주거안전·위생이 열악한 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사업(농어촌은 농식품부가, 도시는 국토부가 시행)
※지붕개량, 집수리 등 사유재산까지 지원 가능